대전 도시철도 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대전광역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1년 건설 계획이 수립되어 2006년 일부 구간 개통,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판암역에서 반석역까지 총 20.47km 구간을 운행하며, 1000호대 전동차가 4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주요 역으로는 대전역, 중앙로역, 시청역, 유성온천역 등이 있으며, 용두역과 식장산역 신설이 계획되어 있다. 2024년 4월부터 하행 막차는 반석역까지 연장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판암차량사업소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검수 관리를 담당하는 판암차량사업소는 2025년 식장산역 신설 추진으로 식장산 접근성 향상이 기대된다.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총 길이 38.8km의 노선으로, 2024년 9월 착공하여 2028년 12월 개통 예정이며 노면전차(트램)를 차량 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수소 트램 34편성이 운행될 예정이다.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3호선
대전 도시철도 3호선은 신탄진에서 산내동까지 29km를 연결하는 대전광역시 도시철도망 확장 계획 노선으로, 1·2호선 미경유 지역을 포함하며 3·4·5호선 계획 중 가장 많은 이용 수요가 예상된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1호선 |
고유 이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한자 이름 | 大田廣域市都市鐵道公社1號線 |
로마자 표기 | Daejeon Metropolitan Express Transit Corporation Line 1 |
운영 기관 | 대전교통공사 |
운영 주체 | 대전광역시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지하철 |
상태 | 운영 중 |
개통일 | 2006년 3월 16일 (판암 ~ 정부청사), 2007년 4월 17일 (정부청사 ~ 반석) |
노선 정보 | |
노선 길이 | 22.74km |
역 개수 | 22 |
노선 수 | 1 |
노선망 | 대저 도시철도 |
기점 | 판암역 |
종점 | 반석역 |
궤간 | 1,435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
신호 장치 | ATC, ATO |
차량 기지 | 판암차량사업소, 외삼차량사업소 |
기술 정보 | |
영업 최고 속도 | 80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km/h |
전압 | 직류 1,500V |
기타 정보 | |
일일 수송량 | 113,902명 (2015년 평균) |
웹사이트 | 대전교통공사 웹사이트 |
![]() | |
![]() | |
역 목록 | |
역 번호 | 101 |
역 이름 | 판암역 |
역 번호 | 102 |
역 이름 | 신흥 |
역 번호 | 103 |
역 이름 | 대동역 |
역 번호 | 104 |
역 이름 | 대전 |
역 번호 | 105 |
역 이름 | 중앙로 |
역 번호 | 106 |
역 이름 | 중구청역 |
역 번호 | 107 |
역 이름 | 서대전네거리역 |
역 번호 | 108 |
역 이름 | 오룡역 |
역 번호 | 109 |
역 이름 | 용문 |
역 번호 | 110 |
역 이름 | 탄방역 |
역 번호 | 111 |
역 이름 | 시청 |
역 번호 | 112 |
역 이름 | 정부청사역 |
역 번호 | 113 |
역 이름 | 갈마 |
역 번호 | 114 |
역 이름 | 월평역 |
역 번호 | 115 |
역 이름 | 갑천역 |
역 번호 | 116 |
역 이름 | 유성온천역 |
역 번호 | 117 |
역 이름 | 구암 |
역 번호 | 118 |
역 이름 | 현충원역 |
역 번호 | 119 |
역 이름 | 월드컵경기장 |
역 번호 | 120 |
역 이름 | 노은역 |
역 번호 | 121 |
역 이름 | 지족역 |
역 번호 | 122 |
역 이름 | 반석역 |
2. 역사
1991년 대전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다.[4] 1994년 1월 지하철 계획단이 설립되었고, 1996년 2월 기존 대전광역시 시가지와 신도심을 연결하는 지하철 건설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4] 1996년 4월 지하철 건설 본부가 설립되었고,[4] 같은 해 10월 30일 1단계 구간(판암역 ~ 정부청사역) 공사가 시작되었다.[6][4] 2003년 7월 25일에 역명이 확정되었다.[6]
2006년 3월 16일 판암역에서 정부청사역 사이의 구간(10.7 km)을 1단계로 개통하였으며,[4] 2007년 4월 17일 정부청사역에서 반석역 구간(9.7 km)을 2단계로 개통하여 전 구간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4]
개통 후 승차 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평일 출·퇴근 시간의 배차 간격을 2008년 5월에 8분에서 6분으로 단축하였고, 2009년 3월에는 5분으로 단축하였다. 2008년 6월에는 오후 시간대 간격을 10분에서 8분으로 단축한데 이어 같은 해 11월에는 대전역 막차 시간을 연장하였다.[7]
2024년 4월 1일부터 하행 막차가 반석역까지 연장 운행된다.[8][9]
2. 1. 건설 과정
1991년 대전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다.[4] 1994년 1월 지하철 계획단이 설립되었고, 1996년 2월 기존 대전광역시 시가지와 신도심을 연결하는 지하철 건설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4] 1996년 4월 지하철 건설 본부가 설립되었고,[4] 같은 해 10월 30일 1단계 구간(판암역 ~ 정부청사역) 공사가 시작되었다.[6][4] 2003년 7월 25일에 역명이 확정되었다.[6]2. 2. 개통
1996년 10월 30일 1단계 구간(판암역 ~ 정부청사역)의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3년 7월 25일에 역명이 확정되었다.[6] 2006년 3월 16일 판암역에서 정부청사역 사이의 구간(10.7 km)을 1단계로 개통하였으며,[4] 2007년 4월 17일 정부청사역에서 반석역 구간(9.7 km)을 2단계로 개통하여 전 구간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4]개통 후 승차 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평일 출·퇴근 시간의 배차 간격을 2008년 5월에 8분에서 6분으로 단축하였고, 2009년 3월에는 5분으로 단축하였다. 2008년 6월에는 오후 시간대 간격을 10분에서 8분으로 단축한데 이어 같은 해 11월에는 대전역 막차 시간을 연장하였다.[7]
2024년 4월 1일부터 하행 막차가 반석역까지 연장 운행된다.[8][9]
2. 3. 운영 개선
2008년 5월 평일 출·퇴근 시간 배차 간격을 8분에서 6분으로 단축했고, 2009년 3월에는 5분으로 추가 단축했다.[7] 2008년 6월에는 오후 시간대 배차 간격을 10분에서 8분으로 단축했고, 같은 해 11월에는 대전역 막차 시간을 연장했다.[7] 2024년 4월 1일부터 하행 막차가 반석역까지 연장 운행된다.[8][9]3. 역 목록
거리
거리
(Daejeon Univ.)
(大田大)
(Woosong Univ.)
(又松大)
경부선
경부고속선
충청권 광역철도 옥천 방면 지선
(대전역)
(KAIST)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韓國科學技術院)
(防衛事業廳)
(Chungnam Nat'l Univ.·Mokwon Univ.)
(忠南大·牧園大)
(Hanbat Nat'l Univ.)
(한밭大)
(Noeun Wholesale Market)
(Chimsin Univ.)
(浸神大)
(Chilsungdae)